도보여행코스3(삼릉가는길)

신라의 역사적 장소들을 따라 걷는 서남산 '삼릉 가는 길'을 소개합니다. 서남산 둘레를 따라 거닐면, '신라의 역사는 남산에서 시작하여 남산에서 끝난다'라는 말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길을 따라 걷다 보면, 신라 건국의 아버지 박혁거세의 탄생설화가 깃든 우물 터, 나정과 그의 무덤 오릉을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신라 건국 초기에 궁궐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창리마지와, 신라의 마지막을 기억하고 있는 포석정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여유롭게 반나절 정도 시간을 내어 걸으며, 신라의 흥망성쇠를 느껴봅시다.

신라 역사를 모두 만나는
도보여행 코스 한 눈에 보기

지도 아이콘

서남산 둘레를 걷는 삼릉 가는길
신라 역사의 시작과 끝을 모두 만나는도보여행 코스

약도
걷기 아이콘 삼릉 가는 길 도보여행 코스 소개
  • 코스 난이도 :경사가 거의 없는 대부분 평탄한 길
  • 코스 길이 및 소요시간 :편도 약 8km | 관람 시간 포함 3시간 내외
  • 코스 출발점 :경주시 교동 274, 월정교
  • 코스 경유지 :월정교 → 천관사지 → 오릉 → 나정 → 창림사지 → 포석정지 →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배동 삼릉과 솔숲
사진

위치 아이콘월정교 바로가기 아이콘

  1. 남산 둘레길의 시작
  2. 신라의 왕궁인 월성과 서라벌의 남쪽을 이어주던 월정교는, 오늘날에도 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사진

위치 아이콘천관사지 바로가기 아이콘

  1. 통일신라 시대의 절 천관사가 있었던 곳
  2. 삼국통일의 주역 김유신 장군의 슬픈 사랑 얘기가 깃든 곳 김유신 장군이 천관녀와의 사랑을 끊어내고자 말의 목을 베는 결단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3. 슬픔을 안고 생을 마감한 천관녀의 넋을 기리고자 지은 절입니다.
사진

위치 아이콘경주 오릉 바로가기 아이콘

  1. 능이 다섯 기여서 '오릉'이라고 부릅니다.
  2.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그의 부인인 알영왕비와 남해, 유리, 파사왕의 능이라 전해집니다.
  3. 알영부인의 탄생 설화가 깃든 우물터인 알영정도 있습니다.
  4. 고분 곁에 솔숲 산책로, 대나무 숲 산책로가 있어 거닐기 좋습니다.
사진

위치 아이콘경주 나정 바로가기 아이콘

  1. 신라 건국의 아버지 박혁거세의 탄생 설화가 깃든 우물터
  2. 박처럼 생긴 알에서 태어나 성이 박(朴)씨 입니다.
  3. 세상을 밝게 한다는 듯에서 이름을 혁거세(赫居世)라 붙였다고 합니다.
사진

위치 아이콘창림사지 바로가기 아이콘

  1. 삼국유사 속 신라 최초의 궁궐지로 기록되어 있는 곳
  2. 남산 자락 야트막한 둔덕에 절터와 석탑 1기가 있습니다.
  3. 남산 앞 들녁의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하시길 바랍니다.
사진

위치 아이콘포석정지 바로가기 아이콘

  1. 신라 시대 연회를 베풀거나 국가의 주애다를 논의했던 곳
  2. 가을철 화려하게 물드는 대표적인 단풍명소입니다.
  3. 술잔이 물길을 타고 흐를 수 있게 곡선으로 만들어진 석조유구 '유상곡수'가 있습니다.
  4. 현존하는 동북아시아 곡수유적 중 가장 오래된 유구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진

위치 아이콘배동석조여래삼존입상 바로가기 아이콘

  1. 삼불사 인근 남산 등산로 초입에 자리한 3기의 불상
  2. 7세기 초 신라 불상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됩니다.
  3. 어린아이같은 천진한 미소와 둥글고 풍만한 선이 친근함을 주는 불상입니다.
사진

위치 아이콘배동 삼릉과 솔숲 바로가기 아이콘

  1. 숲속 가운데 3기의 왕릉이 동서로 나란히 자리한 배동 삼릉
  2. 신라 제8대 아달라왕, 제53대 신덕왕, 제54대 경명왕의 묘
  3. 구불구불한 소나무가 고요한 삼릉숲을 이루고 있습니다.